대표번호
055.360.5114
위험인자 분석에 따른 우식 관리 CAMBRA (소아치과 김지연 교수) | ||
---|---|---|
작성자 l 관리자 | 작성일 l 2017-04-05 17:07:58.0 | 조회수 l 3031 |
첨부파일 l | ||
![]() CAMBRA : Caries Management by Risk Assessment
소득 및 생활 수준 향상,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인식 향상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의 치아우식(충치) 유병률은 꾸준히 감소해왔지만 아직도 높은 편입니다. 특히 어린이들에게 치아우식증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, 5세 어린이에서 유치 우식 경험자율은 국민 구강건강실태조사가 시작된 2000년에 83.3%였던 것이 그 이후 꾸준히 감소하여 2010년에 61.5%를 보였으나 2012년에는 62.2%로 다시 약간높아졌습니다.
1. CAMBRA의 기본 절차 ①어린이와 보호자의 위험요소를 분석합니다. ②개인에 맞는 예방 관리 계획을 설정하고 시행합니다. ③개인에 맞는 치료(수복치료 등) 계획을 설정하고 시행 합니다. ④어린이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주기적 내원 일정을 정합니다.
2. CAMBRA의 진행 순서 ①보호자 상담과 임상검사 ②세균검사 및 타액 검사 ③결과통보 및 자가관리목표 수립
3. CAMBRA의 의의 및 활용성 개인마다 치아우식의 위험도가 다르므로 치아우식의 접근방식도 달라집니다. 가령 같은 정도의 치아우식이 발견되어도 각 개인에 따라서 치료를 할지 말지, 어떻게 치료할 지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즉 어린이의 연령, 협조도, 우식위험도 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여 치료와 예방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. 그리고 한 개인에서도 우식위험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, 이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![]() |
![]() |
제대로 알고 파헤치는 구강암 : 설암 (구강악안면외과 김욱규 교수) |
---|---|
![]() |
부산대학교치과병원에서의 전신마취수술이란? (치과마취과 김은정 교수) |